재산세 연체 ! 납부기한, 이자율, 카드 납부까지 총정리
“재산세, 언제까지 내야 하나요?”
“납부기한 지나면 얼마나 더 내야 하나요?”
“카드로 내면 혜택은 없나요?”
매년 돌아오는 재산세 고지서. 막상 납부 시기가 되면 기한, 이자율, 납부 방법이 헷갈리기 쉽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 2025년 재산세 납부 일정과 연체 시 적용되는 이자율, 실제 벌어질 수 있는 불이익,
그리고 카드 납부 팁과 주의사항까지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해드립니다.
📅 2025년 재산세 납부일정 총정리
과세 대상 | 1기분 (7월) | 2기분 (9월) |
---|---|---|
주택 | 7월 16일 ~ 7월 31일 | 9월 16일 ~ 9월 30일 |
건축물/선박 | 7월 16일 ~ 7월 31일 | 해당 없음 |
토지 | 해당 없음 | 9월 16일 ~ 9월 30일 |
- 세액이 20만 원 이하일 경우에는 7월에 일괄 납부
- 과세 기준일은 6월 1일, 이 날 소유 기준으로 고지서가 발송됩니다
⚠️ 납기일 넘기면? 연체 이자율 이렇게 붙어요
연체 기간 | 부과 내용 | 주요 조치 |
---|---|---|
30일 이내 | 세액의 3% 고정 가산금 | 독촉 안내 |
1개월~1년 미만 | 매월 0.75%씩 누적 (최대 9%) | 압류 예고 |
1년 이상 | 연 10% 이상 이자 발생 가능 | 부동산·차량 압류, 공매 |
✅ 납기일 다음날부터 이자 발생! 꼭 기한 지켜야 합니다.
💣 장기 체납 시 어떤 불이익이?
- 압류: 부동산, 자동차, 통장 등 자산 동결
- 신용등급 하락: 일정 금액 이상 체납 시 신용정보 등록
- 금융 불이익: 대출, 카드 발급 제한될 수 있음
💡 30일 이상 연체되면 신용점수에도 영향! 꼭 유의하세요.
💳 카드로 재산세 납부, 무이자 가능할까?
납부 수단 | 수수료 | 할부 가능 | 비고 |
---|---|---|---|
위택스 | 없음 | O | 무이자 이벤트 적용 가능 |
정부24 | 없음 | O | 로그인 후 납부 가능 |
은행 앱 | 없음 | O | 카드사 혜택 별도 확인 필요 |
무인기 | 없음 | 일부만 | 일부 지역 한정 운영 |
- 결제 후 취소 불가이니 납부 전 조건을 반드시 확인
- 무이자 할부는 카드사마다 다름 (공식 홈페이지 확인 필수)
- 장기 할부 시 연 5~14% 이자 발생 가능
🧮 재산세 계산은 이렇게
- 과세표준 = 공시가격 × 60%
- 세율은 누진 구조 → 0.1% ~ 0.4%
- 여기에 지방교육세 20%가 추가됩니다
예: 공시가격 5억 원 → 과세표준 3억 원 기준으로 세액 산출
❓ 자주 묻는 질문 Q&A
Q. 고지서를 못 받았어요. 어떻게 하나요?
👉 위택스, 정부24, 은행앱에서 바로 조회 및 납부 가능
Q. 연체 중인데 지금이라도 내면?
👉 가산금 포함된 금액으로 자동 계산되어 납부 가능
Q. 카드로 납부해도 이자가 붙나요?
👉 네. 납부일이 지났다면 카드로 납부해도 이자 부과됩니다.
💡 재산세 납부, 이렇게 하면 똑똑합니다
- 납부 알림 설정으로 연체 방지
- 무이자 카드 납부로 부담 줄이기
- 고지서 없을 땐 온라인 조회 활용
- 연체 시에는 하루라도 빨리 납부!
✅ 마무리 Tip
재산세는 기한만 잘 지켜도 손해 없는 세금입니다.
만약 연체되었다면, 이자율·불이익·납부방법을 정확히 알고 즉시 처리하는 것이 현명합니다.